블로그 이미지
기뉴등장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모든 복잡한 일을 뒤로 하고, 남편이 공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와 있다. 논문이라는 한 가지 일에 온전히 집중하기에 너무나도 좋은 환경이어서 매일매일 동네 카페들을 탐방하며 원없이 남들이 쓴 글을 읽고, 내가 쓴 글을 다듬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오늘 본 논문 중에 가루다 프로젝트에 대해 재미난 시각으로 해석해 놓은 글이 있어 내가 잊지 않고자 정리해볼까 한다. Emma Colven이라는 지리학자가 UCLA 재학 당시 (지금은 오클라호마 대학 교수) 투고한 글로, 'Understanding the Allure of Big Infrastructure: Jakarta's Great Garuda Sea Wall Project" 라는 제목의 아티클이다. 

이 글은 '대체 자카르타는 왜 hard water infrastructure를 선택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앞에서 언급했듯이, 거대 제방이나 댐 등 물 관리를 위한 hard infra는 여러 가지 사회, 경제, 환경적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점점 수요관리나 후방예측(backcasting: 사용량을 정해놓고 그 양에 맞게 전략을 수립하는 방식)을 중심에 두는 soft path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모든 트렌드를 역행하는(!) 엄청난 공사인 가루다 프로젝트가 런칭되었으니 학자로서 의아할 만 하다. 게다가 가루다 프로젝트의 마스터플랜을 보면,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은 결여된 채, '자카르타가 물에 잠기니 제방을 지어야 해!' 라고 빼액 거리는 수준에 불과해 대체 이들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일을 저지르고 있나 싶기까지 하다. (많은 학자들은 지반침하의 원인이 과도한 지하수 사용과 무분별하게 지어진 건물의 하중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Emma는 자카르타가 지니고 있는 '모-던, 인터네-셔널 컴플렉스'의 관점으로 이 프로젝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까르노는 인도네시아의 자주성을 회복하고 세계에 그 위용을 드러내기 위해 자카르타를 'Modern and international city'로 만들고자했다. 이 기조는 수하르토 대통령의 신질서 시기에도 이어져 고층 빌딩과 럭셔리한 호텔로 도시를 치장하는 도시개발이 계속되었고, 2018 아시안게임을 앞두고는 MRT 개통, 고속도로 증설 등 끊임없이 인프라 확장을 이끌어 왔다. 

이런 와중에 항상 도시의 주변부이자 어부, 빈민들로 가득 찼던 북부 자카르타는 자카르타의 모던한 이미지 완성을 위해 손 대야 할 마지막 공간으로 여겨졌다. 게다가 기존 토지에 잔뜩 얽혀있는 이해관계를 생각하자면, 해안 개발은 새롭고도 편안한(?) 방법임에 틀림없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17개의 섬 개발 계획이 세워졌으나 아시아 경제위기로 실행되지 못하다가, 근래에 들어 가루다 프로젝트에 모든 해안 개발 사업이 포섭되어 진행되기 시작했다. 

즉, 가루다 프로젝트는 싱가폴에 비견하는 모던 인터네셔널 시티로 거듭나기 위한 자카르타의 오랜 바램을 완성해 줄 소중한 사업인 것이다. 게다가 홍수 방지와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레버리지로 원조도 받아낼 수 있으니 인도네시아 입장에서는 얼마나 '효자템'일까 싶다. 

인도네시아에 대해 쓴 글을 읽으면 읽을 수록, 나는 이 곳에 대해 아는 게 없는 것 같다. 많은 시간을 인도네시아라는 공간에서 보냈지만, 누군가 나에게 인도네시아 전문가라고 하면 적극적으로 부인할 수 밖에 없다. 정말 아는 게 없다 ㅠ